有句话说从韩语中去掉汉字词的话,实际上利用的措辞会产生局限性。汉字词在韩语中所占的比重从普通名词来看也超过70%。原来以为是固有词,像“用饭”这类的利用的单词,理解之后创造是汉字词的情形很多。专家认为汉字词根是古汉语为根本,以释义为根本,理解的话,活用性很高,因此在在日常生活中,一定会常常利用。让我们来理解一下,在日常生活中常常利用的汉字词有哪些吧。
급기야 终极
‘마지막에 가서는’, ‘끝에 가서 결국에’ 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급기야’는 ‘결국’, ‘마침내’ 등의 유의어로 及(미칠 급), 其(그 기), 也(잇기 야)의 한자어를 가진 단어다. 급기야는 1993년 2월 12일부터 관련 조항 행정 용어 순화 편람에 따라 ‘마침내’와 함께 쓸 수 있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常常用的表示“走到末了”、“走到末了结果”的“末了”是跟“结果”、“终于”意思附近,他用到了及급,其기,也야汉字构成的汉字词。据悉,“급기야”从1993年2月12日开始,根据行政用语大略化干系条款,可以和“마침내”一起利用了。
도대체 到底
도대체는 ‘도덕체’ 등 유행어로 변모해 젊은층을 중심으로 자주 구사되면서 순우리말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한자어였다. 도대체는 주로 의문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이며 ‘다른 말은 그만두고 요점만 말하자면’ 등의 의미로 都(도읍 도), 大(클 대), 體(몸 체)한자를 사용한다. 도대체는 ‘대체(大體)’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도대체”变成了“道德体”等盛行语,以年轻人为中央,常常利用,很多人以为它是固有词,实际上是汉字词。紧张和表示疑问的词汇一起利用,表示“别说别的话,要说要点”等意思,由都도,大대,体체三个汉字构成,作为“대체”强调式,人么常常利用。
호랑이 老虎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동물의 이름도 한자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친숙하게 알려진 동물 ‘호랑이’가 있다. 호랑이와 같은 뜻을 가진 ‘범’을 한자어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의외로 범은 순우리말이다. 호랑이는 虎(범 호)에 狼(이리 낭)을 쓰는 한자어다.
我们常用的动物的名字大部分都是汉字词。比较有代表性的是在我们国家很熟习的动物“老虎”。虽然有很多人把和老虎同义的“범”当成汉字词,但是意外的是,범是固有词,호랑이是有着“虎狼”之意的汉字词。
어차피 反正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어차피’는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또는 ‘이렇게 되든지 저렇게 되든지’라는 의미를 가진 부사다. 이렇거나 저렇거나 귀결되는 바가 있을 때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於(어조사 어) 자에 此(이 차) 자, 彼(저 피) 자를 쓰는 한자어다.
据标准国语大辞典的说法,“反正”是有“不管是这样做还是那样”或者“无论变成这样还是那样”意义的副词。像这样或那样归结的时候常用的单词,是用词“於”字的里的“어”和“此”字里的“차”,记上“彼”字里的“피”,三个结合在一起的汉字词。(於“어”,此“차”,彼“피”)
심지어 乃至
고려대한국어사전에 따르면 ‘심지어’의 기본 의미는 ‘심하다 못하여 나중에는’으로 앞 내용이 뒤에서 더욱 심해질 때나 앞 내용의 심화로 인한 결과가 뒤 내용으로 나올 때 쓰여 앞뒤 어구나 문장을 이어주는 말이다. 주로 ‘도’, ‘조차’, ‘까지’ 등과 함께 쓰여 기대하지 않은 일이 관련되었음을 나타내는 말로 자주 구사되며, 甚(심할 심), 至(이를 지), 於(어조사 어) 자를 쓰는 한자어다.
根据《高丽大韩语词典》,“乃至”的基本含义是“由于太严重,以是往后”,要么前面内容到了后面程度更深,要么是前面的内容深化导致后面的结果涌现的时候来用,是连接前面词句或者文章的词。常常跟“也”,“连”,“连”这样的词一起用,表示对付意想不到的事情的时候来用的话,심取自于“심하다 严重”,지取自“ 至지”,어取自于“於어”,是常常利用的汉字词。
점심 午饭
아침, 점심, 저녁 등 삼시 세끼를 가리키는 말 중 가장 자주 구사되는 ‘점심’이 유일하게 한자어라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點(점 점)에 心(마음 심)을 사용해 마음에 점을 찍듯이 간단하게 먹는 중간식사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 바로 점심의 뜻이다. 아침, 저녁은 순우리말인 데 비해 점심만 유독 한자어라서 몰랐던 이들이 상당수일 것이다.
最常说的早餐,午餐,晚餐等三餐中,唯一“午餐”是汉字词,这让很多人大吃一惊。由于점对应的汉字是“点”,심对应的汉字是“心”(点心),意思是大略地吃中间一顿。早餐,晚餐是固有词,但只有午餐是汉字词,相称多的人不知道这个事实。
미안 对不起
미안함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회생활에서 마치 공기처럼 존재하고 있는 ‘미안’이라는 단어 역시 한자어다. 미안은 未(아닐 미)에 安(편안 안)을 사용해 남에게 대하여 마음이 편치 못하고 부끄러움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된다. ‘죄송’ 역시 罪(허물 죄)와 悚(두려워할 송)을 사용하는 한자어란 사실을 알아두자.
作为表示歉意的单词,在社会生活中像空气一样存在的“对不起”这个词也是汉字词。“미”对应的是“未”,안对应的是“安”,意为未让他人感到安心而羞愧。“죄송”也是利用“罪”죄和“悚”송的汉字词。
양말 袜子
신발을 신기 전에 필수적인 일상용품인 양말은 우리 일상 속에 뿌리 내린 순우리말 같지만 의외로 한자어인 단어다. 고려대한국어사전에 따르면 양말은 본래 ‘버선’을 나타내는 한국식 한자어 말(襪/靺)’에 서양에서 들어온 것임을 나타내는 접두사인 ‘양(洋)’이 붙어 이루어진 말이다. 따라서 이 말의 본래 의미는 ‘서양에서 들어온 버선’을 띠고 있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襪/靺’이 독립성이 없어 이를 따로 분석하지 않고 하나의 한자어를 이루었다고 보고 있다.
穿鞋子前必需用的袜子,虽然看起来像是我们日常生活中根深蒂固的固有词,可意外确是汉字词。高丽大韩国语词典中,袜子是从原来表示“布袜”的韩文汉字词,结合了代表从泰西引入的前缀“洋”,合成的词。以是这句话的原意是“从西方流入的布袜子”,但当代语中“袜”没有独立性,对它没有单独进行剖析,而是算作一个汉字词。
사과 苹果
아삭아삭한 맛이 일품인 사과는 모양도 예쁘고 발음도 착착 감겨 순우리말인 줄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사과는 沙(모래 사)에 果(과실 과)를 쓰는 한자어다. 모래를 뜻하는 한자가 들어간 이유는 사과를 먹을 때 모래처럼 사각사각거리는 소리 때문이라는 말이 전해져 온다.
口感清脆的苹果不仅样子容貌俊秀发音也很上口以是很多人以为是固有词。但是苹果是“沙子”的사和“果实”的과结合一起的汉字词。有人说含有表示沙子的汉字是由于在吃苹果的时候声音就像沙子的声音。
역시 果真
‘역시’라는 말이 없었다면 한국어를 쉽고 간편하게 구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척 제한적이었을 것이다. 그만큼 자주 사용되는 ‘역시’는 ‘어떤 것을 전제로 하고 그것과 같게’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한자어다. 주로 조사 ‘도’가 붙은 명사와 함께 쓰이며, 어떤 대상의 동작이나 상태가 다른 대상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거나 작용함을 일컫는다. 亦(또 역) 是(이 시)의 한자를 사용한다.
如果没有“果真”这句话的话,韩语提及来会很大略,也会很有限。常常利用的“果真”是表示“以某种东西为条件,和它一样”的汉字词。紧张和带有词“也”结合的名词一起利用,表示对付任何一个工具的动作或状态都一样。 亦(表示也的역) 是(表示是的시),这样的汉字构成的。